본문 바로가기

야! 너도 작곡 할 수 있어

초보자를 위한 작곡 이론 코드를 알기위한 음정 이해하기

반응형

음정(Interval)이란 음과 음 사이의 거리를 얘기 합니다. 

 

우리가 아는 실용음악에서는 음사이 간격을 세는데는 '도'라는 단위로 음정을 셉니다. 

 

1도, 2도, 3도 이런식으로 세는데 예로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 -> 차례대로 1도 2도 3도 4도 5도 6도 7도 8도 순으로 세줍니다.

 

각 음정에는 음간 거리에 따라 수식어가 붙는데 바로 (완전음정, 장음정, 단음정, 증음정, 감음정)등의 종류가 있습니다. 

 

각 음정에는 특징이 있습니다.

 

 

C major(다 장조, 도를 기준으로 한 스케일)를 기준으로 각 음정의 느낌을 설명해 보면, 

 

완전음정(도,솔) : 듣기 좋고 안정적 

 

장음정(도,미) : 협화적인 느낌 

 

단음정(도,미b): 약간 우울한 느낌

 

증음정 (도,파#): 불협화 느낌

 

감음정 (도,미b,솔b) : 불협화 느낌

 

이것을 표로써 정리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정리가 됩니다. 

 

완전음정과 장음정을 기준으로 음간의 거리가 좁아지고 멀어짐에 따라 음정의 캐릭터가 정해짐

 

그림을 설명하자면 Cmajor를 기준으로 1도(도), 4도(파) 5도(솔) 8도(도)는 완전음정 2도(레) 3도(미) 6도(라) 7도(시)는 장음정이 됩니다. 이것은 정해진 기준과 법칙입니다. 

 

이 음정들을 기준으로 반음거리와 b(플랫),#(샵)이 붙으면서 감음정, 단음정, 증음정이 되는 방식 입니다. 

 

완전음정들이 b(플랫)되면 음간의 간격이 좁혀져서 감음정이 되고 ,완전 음정들이 #(샵)되면 음간의 간격이 벌어져서 증음정이 됩니다. 

 

장음정들은 b(플랫)되면 음간의 간격이 좁아지면 감이 아닌 단음정이 되고 플랫이 더 붙으면 감음정으로 떨어집니다. 반대로 #(샵)되면 음간의 간격이 벌어지고 완전음정과 같이 증음정으로 바뀝니다. 

 

예제)

 

도와 미b의 간격은 (도,레,미) 3도 간격이지만 미(3도)에 b(플랫)이 붙어 음간의 거리가 좁아져 이는 단 3도라 말합니다. 장음정인 상태에서 3도에 플랫이 붙어서 거리가 좁아져 -(마이너스) 됐기 때문 입니다. 플랫은 반음을 내리는거기 때문에 음간의 거리가 좁아 집니다. 

 

도와 파#을 예로들면 거리는 (도레미파)4도 거리지만 파(4도)에 #(샵)이 붙기 때문에 증4도가 됩니다. #에 의해 음간의 거리가 멀어져 +(플러스)되었기 때문입니다. 

 

미와 솔을 예로 들면 미를 1도로 놓고 솔까지 가보면 3도 간격이 됩니다.(미부터 미, 파, 솔)

 

미는1도 파는2도 솔은 3도 입니다. 미와 파는 2도간격이지만 반음이기 때문에 음간의 거리가 더 좁아 단2도가 됩니다. 

 

도를 기준으로 도와 미거리를 비교 해보면 도는 1도 레는2도 미는 3도 간격인데 도 와 레, 미 사이에는 반음이 아닌 온음이기 때문에 그대로 장음정이 됩니다. 사이에 #이나 b, 반음이 없기 때문에 도에서 미 거리는 그대로 장3도 거리가 됩니다. 

 

하지만 솔은 사이에 미파 반음이 있어 거리가 더 좁아졌고 따라서 미와 솔은 단 3도거리가 됩니다. 

 

음정을 계산할때는 기준이 되는 음을 1도로 놓고 차례대로 세준뒤, 위 예제같이 거리(숫자)가 나오면 숫자를 붙이고 (반음, b, #) 유무에 따라 음정 캐릭터를 정해주면 됩니다. 

 

이상 음정 이해하기 였습니다. 글로써 이해하기 힘들겠지만 천천히 다시 보시면 법칙이 보입니다. 이 법칙을 통해 코드 즉 화성이 적립되고 코드의 원리가 됩니다. 

 

이어서 코드의 종류와 기본개념으로 이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야! 너도 작곡 할 수 있어] - 코드의 종류와 기본개념 그리고 이론의 중요성

 

코드의 종류와 기본개념 그리고 이론의 중요성

코드란 화음을 뜻합니다. 중심이 되는 음에 어울리는 음들을 같이 합성해서 동시에 울리는 것을 얘기합니다. 코드의 지식은 자유로운 작곡과 편곡이 가능합니다. 요즘에는 작곡 프로그램 안에 있는 Plug in이나..

agfriends.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