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설명드릴 장비는 모니터 스피커입니다. 기본적인 개념과 처음 구입시 참고할 내용들을 적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음악 작업을 할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귀입니다. 청중들은 음악을 귀로 듣고 향유하니 작업자는 잘 들으며 작업하는 것이 중요한 이치입니다.
모니터 스피커는 크게 앰프가 내장되어 있는 액티브 타입과 별도의 앰프가 필요한 패시브 타입으로 나뉩니다. 편의성 등 여러 가지를 따졌을 때 보통 액티브 타입을 많이 사용합니다. 저는 8인치의 액티브 타입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래 그림처럼 후면부에 전원 앰프가 같이 달려있으면 액티브, 없는경우 패시브 형태 입니다.
스피커는 보통 2way ,3 way로 나눠지게 되는데 2 way는 -중/저음 한 군데, 고음 한 군데 이렇게 두 곳에서 소리가 흘러나옵니다. 위 그림의 모니터 스피커 전면부 사진이 2 way 모델입니다. 3 way는 저음, 중음, 고음 각 3군데로 나눠지며 스튜디오같이 방음 설비가 이뤄진 곳에 많이 사용됩니다.
3 way가 당연히 더 좋다고 생각하시 겠지만, 제대로 된 성능을 발휘하려면 방음 설비가 정확히 이뤄진 곳에 장착이 되어야만 극강의 성능을 자랑합니다. 그만큼 비싸기도 합니다. 따라서 2way를 기본적으로 개인 작업실이나 집 같은 곳에 많이 사용을 합니다. 인치는 6~8인치 정도를 추천 드립니다. 작업하는 장소가 크지 않고 좁고 방음이 잘 이뤄지지 않는 다면 인치수를 낮춰 구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처음에는 6~8인치 정도의 20~40만 원 정도의 가격선을 추천드립니다. 입문 단계에서는 컴퓨터용 스피커를 사용해도 좋지만, 모니터 스피커의 차이는 주파수 대역을 고르게 들려주기 때문에 듣는 훈련도 되는 셈이니 하나 구입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차이를 모르겠다. 돈도 없다 하시면 컴퓨터 스피커 사용하세요 상관없습니다.
중요한 건 본인이 어떻게 느끼는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야! 너도 작곡 할 수 있어] - 작곡을 위한 헤드폰기능과 제품추천
작곡을 위한 헤드폰기능과 제품추천
작곡 장비 이해하기 5탄 바로 헤드폰입니다. 헤드폰은 녹음이나 작편곡 작업시 모니터링을 하는 역할을 해줍니다. 반주를 완성하고 재생을 하면서 보컬을 녹음할 때 반주 소리가 마이크에 들어
agfriends.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