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 썸네일형 리스트형 콘덴서 마이크 기본개념잡기 필터 패드 지향성 세팅과 마이크녹음 콘덴서 마이크는 보컬과 악기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써 동작하기 위해서는 팬텀 파워라는 48v의 전압이 필요한 마이크입니다. 보통 오디오 인터페이스나 믹서상에서 48V 버튼으로 전압을 공급합니다. (과거에는 전압이 틀려 팬텀 파워 박스가 따로 존재했으나 현재에는 인터페이스나 믹서에서 공급이 가능) 게인과 볼륨을 모두 내려주고 마이크 연결을 확실히 한후에 팬텀 전원을 넣고 게인과 볼륨을 올려 사용합니다. 끌때도 마찬가지로 게인과 볼륨을 모두 내려준 후에 팬텀 전원을 꺼줍니다. 안그러면 마이크가 손상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콘덴서 마이크는 사용하는 전기 소자에 따라 튜브(Tube)타입과 FET타입으로 분류됩니다. 튜브 타입은 진공관을 사용하고 FET는 반도체(트랜지스터)를 이용합니다. 거의 대부분의 콘.. 더보기 작곡장비 이해하기 다이내믹 마이크와 콘덴서 마이크 차이점 및 사용방법 4번째 필요 장비 : 마이크 인터페이스까지 구비가 되었다면 소리를 녹음하려는 마이크와 그것을 연결하는 라인이 필요합니다. 직접 노래를 하거나 가이드라인 녹음을 할 때 (후~,우~ 같은 허밍으로 이뤄진 멜로디 라인) 쓰임새가 있습니다. 노래를 연습만 하는 경우라도 마이크 종류와 활용도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알고 계시는 것이 좋습니다. 마이크의 종류로는 다이내믹 마이크와 콘덴서 마이크로 나눠집니다. 다이내믹 마이크는 라이브 공연에서 많이 사용하며 콘덴서 마이크는 스튜디오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두 마이크 모두다 인터페이스에 연결하려면 XLR케이블(밸런스 케이블)이 있어야 합니다. 다이내믹 마이크는 단일 지향성에 감도가 둔하며 주파수 특성이 조금 떨어져 있어서 많은 소리가 섞이는 라이브 현장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