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베이스는 코드 트랙을 활용하여 코드 진행을 쉽게 작성할 수 있고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또한 코드 트랙으로 생성한 코드 진행을 미디노트화 시켜서 편집도 가능하기 때문에 악기를 칠 줄 몰라도 곡을 만드는데 충분히 적용이 가능합니다.
아래 첨부한 영상은 코드트랙을 활용하여 C키의 코드 진행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서브 도미넌트 마이너와 많이 사용하는 메이저 키 1-6-2-5 진행을 활용하였습니다. 만약 코드 진행의 기본적인 이론을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야! 너도 작곡 할 수 있어] - 코드 진행의 기본은 마침 꼴입니다. 메이저 다이아토닉 코드 기초 진행 총정리
먼저 코드트랙을 만들기 위해서는 소리를 재생시킬 가상악기 트랙이 있어야 합니다. 아래 그림처럼 빈 공간에 우클릭하여 Add Chord Track과 Add Instrument Track을 선택해 하나씩 만들어 주세요.
이후 만들어진 코드 트랙에서 생성된 가상악기 트랙을 선택해줘야 코드 진행을 만들어도 모니터링이 가능합니다. 예제의 가상악기는 할리 언 소닉의 어쿠스틱 피아노를 활용하였습니다.
이후 ALT키를 눌러 연필툴로 커서가 바뀌면 마디마다 더블클릭하여 코드리전을 만들어 줍니다. X표시의 박스가 코드리전입니다.
본래의 화살표 커서로 코드리전을 더블클릭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코드네임을 지정하여 코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Chord Assistant를 활용하여 5도권 휠이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해당 키에서 진행할 수 있는 코드들을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후 영상의 예제와 같이 코드리전에 코드들을 모두 만들어 줍니다. 참고로 코드 진행을 잘 모르더라도 아래 그림처럼 코드 어시스턴트 메뉴의 List목록을 참고하여 코드 진행의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Complexity를 조정해 여러 가지 진행 예제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수치가 클수록 만들어 낼 수 있는 진행들이 많아집니다. 숫자 1이 해당 키의 가장 기본적인 예제를 보여줍니다.
만들어진 코드 진행을 모니터링해보고 마음에 들었을 때 이것을 미디 노트화 시킬 수 있습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코드진행리전을 모두 선택 후 가상악기 트랙이 ALT+드래그하면 미디 노트가 모두 보이게 됩니다.
코드 진행의 미디 노트가 만들어지면 미디노트 리전을 모두 선택한 후 숫자 4 키를 눌러 글루 툴로 모두 붙여줍니다.
이후 미디 노트 창으로 들어가면 코드 트랙으로 연주된 미디 노트가 확인이 가능하며 이것을 직접 편집하여 다양한 리듬으로 바꿔 곡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지금까지 기타나 피아노를 칠 줄 몰라도 코드 진행을 쉽게 만들수 있는 방법이었습니다. 코드진행 레시피 같은 여러 코드 이론 교재가 존재합니다. 교재와 함께 직접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사실 코드 진행의 아주 기초적인 진행 정도는 알아두면 좋긴 합니다. 이론은 음악을 만들거나 연주에 필요한 강력한 도구이기 때문입니다. 위 내용을 참고하시어 곡을 만드실 때 다양한 아이디어로 활용해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큐베이스의 기본 세팅과 편의 기능을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큐베이스 Pro 10] - cubase pro10(큐베이스 프로 10) 기본 설정 셋업 스튜디오 셋업 세팅(비트 뎁스, 샘플 레이트)
[야! 너도 작곡 할 수 있어] - 코드휠 활용해서 코드진행 한눈에 파악하고 쉽게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