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곡프로그램 썸네일형 리스트형 장소 제약없이 노트북만 있다면 어디서든 작곡할 수 있습니다. 큐베이스 버츄얼 키보드 총정리 큐베이스에는 버츄얼 키보드가 존재하여 마스터 건반 없이 노트북만 있다면 어디서든 작곡을 할 수 있습니다. 이동 중에도 손쉽게 음악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활용하시면 좋은 기능입니다. 특히 큐베이스의 가상 건반은 키보드의 많은 영역을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DAW(작곡 프로그램) 보다 더 효율적이게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버츄얼 키보드의 단축키는 Alt + K 입니다. 단축키를 누르면 아래 그림과 같이 가상 키보드가 나와 미디 노트를 직접 입력할 수 있습니다. 검은건반 포함하여 12개 음정이 Q2W3ER5T6Y7UI 에 할당되어 있습니다. 키보드의 방향키 [→←]를 눌러주면 아래 그림과 같이 커서가 움직이면서 옥타브를 변화시킬 수도 있습니다. 큐베이스의 버츄얼 키보드의 장점은 건.. 더보기 에이블톤 페이드 인 아웃, 크로스 페이드 기능으로 자연스럽게 편곡하기 녹음한 파일이나 오디오 샘플 파일을 편집하여 자연스럽게 연출을 하기 위해서는 페이드 인 아웃 기능은 필수입니다. 보통 오디오 클립을 잘못 편집하면 틱 틱 하고 잡소리가 섞일 수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중요한 포인트는 편집한 오디오 클립만 들어 보면서 틱 잡음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디오 편집후 MR이나 다른 악기 소리들과 함께 모니터링하면 틱 잡음이 다른 악기나 엠알에 묻혀서 안 들리는 경우가 있어 괜찮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믹싱 시에 크게 잡음으로 발전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기본적인 오디오 샘플과 샘플링에 관련된 기초적인 지식이 궁금하시다면 이전글을 참고하시고 본 포스팅을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에이블톤 라이브10] - 드럼비트 만들기 기초! 샘플링 개념과 가상악기 화장품 .. 더보기 에이블톤 라이브 편의기능 초기 실행부터 자신만의 세팅으로 실행하는 방법 (템플레이트 설정방법,클립&트랙에 텍스트 넣기) 우리가 작업하고 저장한 에이블톤의 기본 파일 폴더를 템플레이트라 합니다. 새로 작업을 할때마다 사용하는 플러그인이나 이펙터를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여주는 에이블톤의 템플레이트 세팅방법에 대해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플러그인을 미디 트랙이나 오디오 트랙에 인서트 한 후 위 그림처럼 프리퍼런스 창(단축키 : Ctrl + ,)을 열고 파일 폴더 메뉴에서 가장 상단에 있는 Save current set as Default에서 Save 버튼을 눌러주면 됩니다. Save 옆에 있는 Clear 버튼은 전에 저장된 내용을 삭제할 때 사용하시면 됩니다. 클리어 버튼은 가장 초기의 세팅으로 바꿔 줍니다. 이렇게 템플레이트 저장 기능을 활용하면 에이블톤을 새로 시작하거나 새로운 프로젝트를 열때.. 더보기 큐베이스 프로10 편의를 위한 Alt키활용 편집시에 편리한 기능 Cubase Pro 10 브라켓은 큐베 상단의 마디 부분에 생기는 로케이터를 뜻합니다. 브라켓은 특정 마디 구간을 전체적으로 선택할 때 사용하는데 펀치 기능이나 루프 기능, 특정 구간 편집 등을 활용할 때 사용합니다. 리전은 편집창 내부에 만들 수 있는 박스로써 미디 노트 등을 기록하거나 오디오 파형이 기록되는 하나의 박스입니다. (직역하면 리전은 지역, 공간) 브라켓을 그리는 방법은 상단에 마우스 커서를 가져가면 연필 모양으로 바뀌는데 그대로 드래그해서 그리는 방법이 있습니다. 양 끝에 흰 점을 누르고 드래그해서 구간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는데 이것은 Alt를 활용하면 쉽습니다. Alt 키를 누른 상태에서 상단 마디 부분에 클릭했을 시에도 생성이 되기 때문에 위 방법을 활용하기보단 Alt 키+마우스 클릭을활용하는 게 더 편.. 더보기 미디 작곡 DAW 에이블톤 라이브10 상단뷰 루프그룹과 모드그룹 (펀치인아웃, 키맵적용,외부컨트롤러 설정) 이번 포스팅으로 상단 뷰의 루프 그룹과 모드 그룹의 설명을 끝으로 상단 뷰의 설명을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루프 그룹은 상단 뷰의 가운데 부분에 해당됩니다 아래 그림을 참고해 주세요 루프 그룹은 맨위에 네모로 표시된 부분만 알고 있으시면 됩니다. 양 옆의 숫자는 위치를 표시해주는 부분이기 때문에 크게 신경 쓰실 필요는 없습니다. 노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Punch In - Punch Out으로 특정 구간을 정해서 그 구간만 녹음을 시키는 기능을 합니다. 펀치 인아웃 가운데에 있는 것은 Loop 버튼으로써 구간 반복에 해당됩니다. 펀치와 루프는 빨간색 큰 네모안 41~45 숫자 아래에 검은색으로 표시된 리전에 의해서 녹음이나 구간 반복할 구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Region(리전)의 사전적 의미는 지.. 더보기 미디 작곡 프로그램 큐베이스 프로10 오디오커넥션 설정 (F4-Audio Connections), 모노 스테레오 개념, 녹음과 모니터링설정(In/Out Seting) 믹서 창의 설정까지 끝났다면 이번엔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인/아웃 설정을 해주는 오디오 커넥션 세팅을 해보겠습니다. 오디오 커넥션 세팅을해야 큐베이스 내에 소리를 녹음하고 큐베이스 내의 악기나 샘플 및 직접 기록한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오디오 커넥션을 세팅하기에 앞서 먼저 모노와 스테레오 개념부터 잡고 가겠습니다. 모노와 스테레오의 차이는 두개로 나눠진 (Left/Right) 스피커에 서로 다른 소리를 보내주는 것을 스테레오라고 하고 같은 소리를 두 개의 스피커에 같이 보내주는 것을 모노라고 합니다. 오디오 커넥션의 단축키는 F4입니다. F4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일단 인풋 설정부터 하겠습니다. 인풋은 인터페이스에 마이크나 악기를 연결했을때 소리를 이렇게 받고 있다고 큐베이스에게 알려.. 더보기 작곡 미디 프로그램 에이블톤 라이브10 상단뷰 트랜스포트 그룹 저번 포스팅에 이어 이번에는 상단 뷰 가운데에 있는 트랜스포트 그룹을 설명해 보겠습니다. 트랜스포트 그룹은 다음 그림과 같이 생겼습니다. Follow : 송 포지션의 위치에 맞추어 화면이 움직입니다. Position : 어레인지먼트뷰 (편집창)의 재생 위치를 표시해 줍니다. (그림의 경우 39마디 첫박에 송포지션 라인 위치) Play, Stop : 재생과 스탑 버튼이며 스페이스로 컨트롤합니다. 스페이스-> 재생 다시 스페이스 -> 스탑 Tip : 멈추고 다시 재생하면 그전에 재생했던 부분에서 항상 시작됩니다. Shift + 스페이스로 재생하면 멈췄던 부분부터 재생됩니다. 스탑 버튼을 더블클릭하면 송포 지션 라인이 가장 첫 마디로 돌아갑니다. Arrange Record : 녹음 시에 눌러줍니다. 스탑버튼과.. 더보기 (ableton live10) 에이블톤 라이브10 컨트롤 바 (상단 뷰) 템포그룹 이번에는 템포, 트랜스포트, 루프, 모드 그룹이 모여있는 컨트롤바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컨트롤 바는 아래 그림의 빨간색 표시 부분영역에 해당됩니다. 화면상 가장 왼쪽 상단에 있는 템포그룹부터 설명해 보겠습니다. 확대하면 다음과 같은 모습입니다. 하나씩 차례대로 설명하겠습니다. ▶Link : 외부 싱크 장치와 연결합니다. 예로 아이패드를 인터페이스와 컴퓨터에 연결한뒤에 아이패드 내에 있는 시스템을 활용하여 에이블톤과 서로 링크시켜사용할 때 필요한 메뉴입니다. (아이패드를 위한 기능은 아닙니다. 다양한 외부 기기와 연결됩니다.) ▶Tap : 마우스 클릭으로 템포(속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4번 클릭하면 속도가 계산되고 재생됩니다. 곡의 템포를 분석하고 싶을 때 유용할 수 있습니다. -> 분석하고 싶..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