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큐베이스 외부 가상악기 Vsti 추가시키는 방법 dll 파일설정
큐베이스에서 제공하는 가상악기 외에 다른 회사에서 제공하고 있는 외부 가상악기를 추가시키는 방법은 dll 파일 설정을 해줘야만 추가가 됩니다. dll 파일은 외부 가상악기 인스톨 후 생기는 확장자 파일입니다. AGML 어쿠스틱 기타 가상악기를 예제로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설치 방법은 다른 가상 악기들과 대부분 일치하니 참고하세요. 먼저 악기 인스톨 버튼을 눌러 설치를 진행하면서 파일 폴더 설정을 잘 확인해 줘야 합니다. 첫 인스톨 파일 폴더 설정을 보면 가상악기 설치 경로가 확인 됩니다. 기본적으로 프로그램 파일에 설치하는 게 맞기 때문에 위 경로가 맞다면 확인한 후 넘어가 줍니다. 이후 뜨는 파일 폴더 설정 창이 중요합니다. 위 그림처럼 dll 파일을 설치할 경로를 정해 달라고 설정창에 뜨게 됩니..
더보기
-
에이블톤 라이브 구매부터 설치까지 총정리 (각 판매버전 설명 및 실용적인 구입추천 포함)
에이블톤은 공식 사이트에서 계정과 정품 시리얼 넘버를 등록하고 다운로드하는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에이블톤의 버전은 Intro/ Standard /Suite로 나눠져 있으며 스위트 버전이 최상위 버전입니다. 에듀 버전은 학생이나 교육자에게 제공하는 교육용 버전으로써 똑같은 기능을 하지만 교육용이기 때문에 학생은 신분을 증명할 학생증과 교육자는 교직원 인증을 통해 할인된 가격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직접 공식 사이트에서 구입하는 방법과 온라인 대리판매를 통해 구입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앞으로를 생각해 미리 여러가지 상황들을 대비하고자 하신다면 직접 구입 추천을, 쉽고 편하게 구입을 원하신다면 대리 판매처를 통한 구입을 추천드립니다. (1) 직접 구입하는 방법 (페이팔 계정이..
더보기
-
마이너 다이어토닉 코드는 3가지 스케일을 활용합니다. 마이너 코드진행 기초정리
메이저 다이어토닉에 이어서 마이너 다이어토닉 스케일의 코드와 기본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이너 스케일은 기본형인 네츄렬 마이너 스케일, 네츄렬 마이너 스케일에서 7도가 #(샵)된 하모닉 마이너 스케일, 마찬가지로 네츄럴 기준 6도와 7도가 #(샵)된 멜로딕 마이너 스케일 이렇게 3가지가 존재합니다. 각 스케일에 3도씩 화음을 쌓으면 메이저와 마찬가지로 토닉, 서브도미너트, 도미넌트 3가지로 코드 기능이 나뉘게 되며 메이저와 5도까지는 기능이 같으나 하모니나 멜로딕 스케일의 특징으로 인해 6도와 7도코드의 성격이 달라집니다. 진행의 방법은 메이저와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메이저 다이어토닉 코드의 기본을 알고있는게 마이너 다이어토닉을 이해하시기에 좋습니다. 링크를 첨부하였으니 참고해 주세요! [야!..
더보기
-
(ableton live10) 에이블톤 라이브10 기본설정과 오디오셋업 (프리퍼런스, Asio 드라이브)
에이블톤 라이브10의 기본 설정을 할 수 있는 메뉴인 Preference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에이블톤을 설치하고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이 미디나 오디오인터페이스를 시스템에 맞게 설정하는것이 첫 순서 입니다. Preference(프리퍼런스)란 에이블톤의 전체적인 환경설정을 하는 메뉴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림과 같이 에이블톤 실행후 옵션의 맨 아래 메뉴인 프리퍼런스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단축키는 ctrl+,(쉼표) 입니다. 프리퍼런스를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메뉴바는 왼편에 있으며 각 메뉴바를 하나씩 간략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look feel -> 화면의 스킨이나 언어설정등이 가능 (한국어x) audio -> 자신의 오디오 디바이스와 샘플레이트 및 레이턴시 값과 cpu 테스트를 해..
더보기
-
에이블톤 라이브 편의기능 초기 실행부터 자신만의 세팅으로 실행하는 방법 (템플레이트 설정방법,클립&트랙에 텍스트 넣기)
우리가 작업하고 저장한 에이블톤의 기본 파일 폴더를 템플레이트라 합니다. 새로 작업을 할때마다 사용하는 플러그인이나 이펙터를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여주는 에이블톤의 템플레이트 세팅방법에 대해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플러그인을 미디 트랙이나 오디오 트랙에 인서트 한 후 위 그림처럼 프리퍼런스 창(단축키 : Ctrl + ,)을 열고 파일 폴더 메뉴에서 가장 상단에 있는 Save current set as Default에서 Save 버튼을 눌러주면 됩니다. Save 옆에 있는 Clear 버튼은 전에 저장된 내용을 삭제할 때 사용하시면 됩니다. 클리어 버튼은 가장 초기의 세팅으로 바꿔 줍니다. 이렇게 템플레이트 저장 기능을 활용하면 에이블톤을 새로 시작하거나 새로운 프로젝트를 열때..
더보기
-
에이블톤 라이브10 오토메이션 총정리 Automation Tutorial
오토메이션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자동 작동을 뜻합니다. 들리는 정위(방향), 볼륨의 량, 특정 이펙터의 파라미터 등을 오토메이션을 그려줌으로써 실행 중 자동으로 작동시켜 특정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필히 사용할 줄 알아야 합니다. 에이블톤 라이브10의 오토메이션은 크게 2가지 방식으로 조정이 가능합니다. 첫 번째는 어레인지먼트 뷰에서 그리는 방법과 두 번째는 미디 클립의 엔벨롭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 어레인지먼트뷰에서 활용하는 방법 에이블톤 라이브10은 이전 버전과 달리 어레인지먼트 뷰에서 오토메이션 활성화 기능이 생겼으며 단축키를 통해 조정이 가능합니다. 어레인지먼트 뷰에서 A 버튼을 클릭하면 각 채널에 오토메이션을 그릴 수 있게 바뀝니다. 1번 미디 트랙에 예제로 오퍼레이터 신디사..
더보기
-
7th Chord 세븐스코드 종류와 특징 및 코드익히기, 코드표기방식과 소리의 이미지 (트라이어드 포함)
7th코드는 메이저 마이너 트라이어드 코드에 7번째 음을 더한 4성코드를 뜻합니다. 장7도 단7도가 트라이어드 코드톤에 추가됩니다. 기본적으로 트라이어드의 개념을 이해해야 합니다. 맨 하단에 포스팅 이전글을 남겨놨으니 트라이어드의 기초를 알고싶으시다면 참고하시면 됩니다.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7th 코드 : 메이저7th코드, 7th코드, 마이너 7th코드 상대적으로 덜 사용하는 7th코드 : 마이너메이저7th코드, augment(오그먼트)7th코드, diminished(디미니쉬드)7th코드 팝 음악이나 대중음악에서 7th코드는 절대적으로 뺄수 없는 코드입니다. 상대적으로 메이저7th코드, 7th코드, 마이너 7th 코드를 많이 사용하며 마이너메이저7th코드, augment(오그먼트)7th코드, dim..
더보기
-
cubase pro10(큐베이스 프로10) 기본설정셋업 스튜디오셋업 세팅(비트뎁스, 샘플레이트)
이번 포스팅은 큐베이스 프로10의 기본설정과 셋업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큐베이스는 구입하면 이렇게 토글키가 택배로 옵니다. 구입처에서 설치 및 인증방법을 상세히 다뤄주기 때문에 이부분은 생략하겠습니다. 저는 윈도우를 비롯해 제가 사용하는 모든 프로그램은 무조건 정품을 쓰고 있습니다. 크랙 버전은 가치가 없습니다. 불안한 시스템 환경에서 작업하지 마시길 당부 드리며 꼭 정품을 사셔서 정품의 가치를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정품안에는 퀄리티가 좋은 Vsti(가상악기) 및 플러그인 이펙터등 DAW 하나로 모든 작업의 해결을 볼 수 있기때문에 비싸다고 생각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본격적인 세팅에 대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큐베이스 인증이 끝난후 실행을 하시면 다음과 같은 허브 화면이 뜹니다. 시작..
더보기
-
장소 제약없이 노트북만 있다면 어디서든 작곡할 수 있습니다. 큐베이스 버츄얼 키보드 총정리
큐베이스에는 버츄얼 키보드가 존재하여 마스터 건반 없이 노트북만 있다면 어디서든 작곡을 할 수 있습니다. 이동 중에도 손쉽게 음악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활용하시면 좋은 기능입니다. 특히 큐베이스의 가상 건반은 키보드의 많은 영역을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DAW(작곡 프로그램) 보다 더 효율적이게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버츄얼 키보드의 단축키는 Alt + K 입니다. 단축키를 누르면 아래 그림과 같이 가상 키보드가 나와 미디 노트를 직접 입력할 수 있습니다. 검은건반 포함하여 12개 음정이 Q2W3ER5T6Y7UI 에 할당되어 있습니다. 키보드의 방향키 [→←]를 눌러주면 아래 그림과 같이 커서가 움직이면서 옥타브를 변화시킬 수도 있습니다. 큐베이스의 버츄얼 키보드의 장점은 건..
더보기
-
큐베이스 프로10 메트로놈 사용방법 예비박 설정 포함
메트로놈은 정확한 박자를 세어주어 녹음할 때 기준점을 잡아주기 때문에 미디나 악기 녹음을 위해서 필히 사용할 줄 알아야 합니다. 큐베이스에는 트랜스포트 패널을 통해 메트로놈 설정을 할 수 있으며, 예비박 설정도 메트로놈 셋업 창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기본적인 메트로놈 세팅 방법과 예비박 설정하는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메트로놈 기본 세팅과 사용방법] 메트로놈을 설정하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트랜스포트 패널에 메트로놈을 추가해 줘야 합니다. 보통 메트로놈은 기본적으로 트랜스포트 메뉴에 설정되어 있습니다. 만약 없는 경우에는 트랜스포트 패널에서 마우스 우측 버튼을 선택하여 아래 그림처럼 2개의 메뉴가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해 주세요. 참고로 트랜스포트 패널은 큐..
더보기
-
드럼의 역사 고대문명부터 현대문명까지
드럼 연주는 수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가장 오래된 음악 표현 형식 중 하나입니다. 역사를 통틀어 드럼은 다양한 문화와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이 글에서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드럼 연주의 역사를 탐구합니다. 1. 고대 드럼은 이집트, 그리스, 로마를 포함한 많은 고대 문명에서 사용되었습니다. 이집트에서는 북이 종교 의식에 사용되었으며 종종 상형 문자로 묘사되었습니다.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북이 군사 퍼레이드에 사용되었고 전투 중에 적을 위협하기 위해 연주되었습니다. 2. 중세 중세 시대에 드럼은 세속 음악과 종교 음악 모두에 사용되었습니다. 유럽에서는 군사 행렬에 북을 사용했고, 중동에서는 종교 의식에 북을 사용했습니다. 스네어 드럼도 이 기간 동안 개발되어 드럼 키트에 날카롭고 빠른 사운..
더보기
-
드러머가 알아야할 필수 스킬 10가지 정리
드러머로서 드럼을 능숙하게 연주하기 위해 숙달해야 하는 여러 기술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모든 드러머가 알아야 할 10가지 드럼 연주 기술에 대해 설명합니다. 1. 기본 그루브 - 기본 그루브는 드럼 연주의 기초입니다. 드러머가 밴드의 다른 멤버들과 함께 연주하는 리듬입니다. 이 기술은 노래의 멜로디를 지원하는 일관된 비트를 연주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기 위한 마디 개념을 확립 시키고 일정한 그루브를 내주기 위한 박자 감각과 일정함을 더해주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2. Fills -필인은 기본 그루브를 분해하고 노래에 흥미를 더하는 데 사용됩니다. 프레이즈 사이, 절 끝 또는 코러스 앞에서 연주할 수 있습니다. 필인은 노래에 자신만의 개성을 더하는 방법입니다. 보통 짝수 마디에 많이 나오는 경우..
더보기
-
트라이어드 코드 기본 메이저코드, 마이너코드 각 코드톤 쉽게 파악하고 연습하기 (12음 코드톤 전부포함)
메이저 트라이어드 코드는 근음(코드의 중심음이 되는음)을 기준으로 장3도와 완전5도가 쌓이는 형태입니다. 메이저는 장조에 해당하며 트라이어드는 근음을 기준하고 포함하여 3개의 음을 쌓는것을 뜻합니다. 즉 3화음을 뜻합니다. 도를 근음으로 장3도 음은 미에 해당하며 완전 5도는 솔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도,미,솔) 이 도 장조 화음 영어로 C major triad 줄여서 Cmaj(C메이저) 코드라 합니다. 실용음악에서 사용하는 음은 12음밖에 없습니다. 각 12음을 루트로 설정하여 메이저 코드를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 이론적으로 메이저 트라이어드 코드는 근음, 장3도, 완전5도가 쌓이는데 이것을 모든음에 적용해서 찾으면 비효율적이며 재미도 없을 것입니다. 이것을 건반을 활용하여 빨리 파악하는 유용한 방..
더보기
-
(ableton live10) 에이블톤 라이브10 컨트롤 바 (상단 뷰) 템포그룹
이번에는 템포, 트랜스포트, 루프, 모드 그룹이 모여있는 컨트롤바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컨트롤 바는 아래 그림의 빨간색 표시 부분영역에 해당됩니다. 화면상 가장 왼쪽 상단에 있는 템포그룹부터 설명해 보겠습니다. 확대하면 다음과 같은 모습입니다. 하나씩 차례대로 설명하겠습니다. ▶Link : 외부 싱크 장치와 연결합니다. 예로 아이패드를 인터페이스와 컴퓨터에 연결한뒤에 아이패드 내에 있는 시스템을 활용하여 에이블톤과 서로 링크시켜사용할 때 필요한 메뉴입니다. (아이패드를 위한 기능은 아닙니다. 다양한 외부 기기와 연결됩니다.) ▶Tap : 마우스 클릭으로 템포(속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4번 클릭하면 속도가 계산되고 재생됩니다. 곡의 템포를 분석하고 싶을 때 유용할 수 있습니다. -> 분석하고 싶..
더보기
-
에이블톤 라이브10 단축키 모음
(1) 어레인지먼트 뷰에서의 트랙 위 아래 간격넓히고 좁히는 기능 : 마우스 포인트 해당 트랙에 놓고 ALT + 마우스휠 (2) 어레인지먼트 뷰에서 특정부분 지우면 뒷 부분이 자동으로 당겨지는 단축키 : 컨트롤+쉬프트+DEL (3) 뮤트버튼 : 트랙 클릭후 숫자 0 누르면 뮤트버튼 (4) 모든트랙 선택 : 트랙 하나 선택후 Ctrl + A (5) 오토메이션 모드 : A -> 어레인지 먼트상에서 A를 누르면 오토메이션 설정창이 보임 . (6) 트랙 이름변경 : 컨트롤 + R (7) 그룹트랙 생성 : 컨트롤 + G = 그룹트랙 (8) 새 미디트랙 생성 : 컨트롤 + 쉬프트 + T (9) 선택 트랙 내용포함 그대로 복사 : 컨트롤 + 쉬프트 + D (10) 새 오디오 트랙 생성 : 컨트롤 + T (11) 복사..
더보기
-
에이블톤 라이브10 오디오트랙과 미디트랙 튜토리얼 (어레인지먼트뷰에서 녹음시 알아 두어야할 개념)
에이블톤의 어레인지먼트 뷰의 각 오디오 트랙과 미디 트랙에 배치되어 있는 기본 개념을 잡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추후 시그널 라우팅(신호 흐름)이나 녹음을 위해 필히 알아두어야 합니다. 위 그림은 기본적인 오디오 트랙과 미디트랙을 캡처했습니다. 지금부터 설명할 내용들은 오디오트랙이나 미디 트랙 둘 다 동일하기 때문에 같이 이해하시면 됩니다. 위에 빨간색으로 표시한 구간은 인풋과 아웃풋 설정과 모니터링을 설정하는 곳입니다. Ext in 구간(Audio From)은 인풋 구간이며 어디에서 소리를 받을것인지 설정하는 곳입니다. 세모 버튼을 눌러보면 소리를 받을 수 있는 여러 곳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Ext in은 익스터널 인풋으로 인터페이스의 인풋 채널을 설정할 때 선택해 주는 것입니다. 기본 적으로 녹음시에..
더보기
-
에이블톤 라이브 오디오 이펙터 이퀄라이저8 EQ Eight 튜토리얼
에이블톤 라이브의 EQ8은 다른 이퀄라이저들과 마찬가지로 주파수를 증/감하여 특정한 주파수 대역을 보충하거나 잡음이나 간섭음을 제거하여 음질의 퀄리티를 올려주는 역할을 해줍니다. EQ8은 말 그대로 8개의 포인트로 나누어 조정할 수 있는 이퀄라이저입니다. EQ8의 중요 포인트는 이큐 타입을 잘 활용해야 합니다. 실전에서 잘 활용하기 위해서 이큐 타입을 총정리해 보고 기초적인 사용 방법에 대해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EQ8 애널라이저 확인 방법] 에이블톤의 이퀄라이저는 오디오 이펙트 메뉴에 있습니다. 인서트 시키면 아래 화면과 같이 생겼습니다. 애널라이저는 실시간으로 재생되는 음원의 파형을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직접 작업하는 곡에서의 미디 악기나 샘플의 저음 중음 고음 중 주요 음역대를 파악하는데..
더보기
-
발라드에서 필수적인 슬픈울림코드 서브도미넌트 마이너
서브도미넌트 마이너는 이론적으로 같은 으뜸음조 마이너 다이어토닉에서 차용해온 차용화음 입니다. 으뜸음조란 한 조의 시작음 (근음, 루트라고도 합니다)에 해당하는 2개의 메이저키와 마이너키를 얘기 합니다. 즉 C키의 메이저 다이어토닉의 으뜸음조는 Cm키의 마이너 다이어토닉 입니다. 어렵게 느껴지지만 사실 메이저 다이어토닉을 이해하고 있다면 쉽게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말 그대로 서브도미넌트 마이너 이기 때문에 C키의 주요3화음의 서브도미넌트인 F코드를 Fm로 바꾸기만 하면 됩니다. 즉 4도 서브 도미넌트 코드를 마이너로 교체만 해주면 됩니다. "다른 키들도 모두 동일하게 작용됩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서브도미넌트 마이너의 진행 방법과 대리코드에 대해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해가 안되신다면 이전에 ..
더보기
-
이 기능만 알면 쉽게 미디 녹음을 할 수 있습니다. 큐베이스 오토 퀀타이즈
퀀타이즈는 실시간으로 미디 녹음을 할 때 박자를 자동으로 맞춰주는 기능을 말합니다. 처음 큐베이스나 미디를 접하는 분들은 실시간으로 녹음을 하면 박자에 맞춰 녹음을 하기 쉽지 않습니다. 일일이 연필 툴로 찍는 것도 비 효율적 이기 때문에 오토 퀀타이즈 기능을 사용하면 빠르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어쿠스틱 한 음악들은 너무 완벽하게 박자를 맞추게 되면 사람이 연주한 느낌이 없어 기계적이고 딱딱한 느낌이 들기 때문에 과도한 사용은 안 하는 게 좋습니다. 하지만 일렉트로닉한 댄스 음악들은 애초에 전자적인 음악이기 때문에 크게 개의치 말고 자주 사용해 주면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그럼 본격적인 오토 퀀타이즈 기능을 설명해 보겠습니다. 먼저 큐베이스에서 기본적인 퀀타이즈 메뉴는 아래 그림처럼 상단에 위치하..
더보기
-
에이블톤 페이드 인 아웃, 크로스 페이드 기능으로 자연스럽게 편곡하기
녹음한 파일이나 오디오 샘플 파일을 편집하여 자연스럽게 연출을 하기 위해서는 페이드 인 아웃 기능은 필수입니다. 보통 오디오 클립을 잘못 편집하면 틱 틱 하고 잡소리가 섞일 수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중요한 포인트는 편집한 오디오 클립만 들어 보면서 틱 잡음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디오 편집후 MR이나 다른 악기 소리들과 함께 모니터링하면 틱 잡음이 다른 악기나 엠알에 묻혀서 안 들리는 경우가 있어 괜찮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믹싱 시에 크게 잡음으로 발전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기본적인 오디오 샘플과 샘플링에 관련된 기초적인 지식이 궁금하시다면 이전글을 참고하시고 본 포스팅을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에이블톤 라이브10] - 드럼비트 만들기 기초! 샘플링 개념과 가상악기 화장품 ..
더보기
-
에이블톤라이브 오디오 투 미디(Audio to midi) 기능 정리와 알고리즘을 활용한 분석 및 라인만들기 편곡꿀팁!
오디오 투 미디 기능은 웨이브 타입의 샘플을 미디 노트로 바꿔주는 기능입니다. 오디오 샘플을 활용하여 작업할 때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기능입니다. 오디오 샘플을 통으로 편집 하기에는 불편함이 있기에 이것을 미디 노트로 바꿔주면 쉽게 하모니 구성 분석 및 비트의 라인 분석과 편집이 가능하게 됩니다. 편곡이나 라인 설계에 유용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오디오 샘플을 그대로 편집해서 잘라내 쓰기에는 불편한 감이 있으니 이것을 미디 노트로 바꿔서 라인을 재 편성 활용하여 편곡할 수 있습니다. 적용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아래 사진과 같이 샘플을 어레인지먼트 뷰에 드래그 한후 마우스 우 클릭해서 4가지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하면 됩니다. 각 기능들은 샘플의 성향에 따라 듣고 구분해서 알고리즘에 ..
더보기
-
에이블톤 라이브10 레벨미터 기본개념과 헤드룸 확인하기
에이블톤으로 곡 작업을 하신다면 기본적으로 세션 뷰의 믹서 창에 있는 레벨 미터를 잘 확인해주는 게 좋습니다. 곡 작업을 하다 보면 트랙이 점점 늘고 각 악기나 트랙별로 곂치는 음역대가 생겨나 소리가 뭉개지고 마스킹 되면서 객관적인 모니터링이 되지 않는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마스킹이란 어떤 음으로 인해 다른 음을 듣지 못하는 청각 특성을 뜻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마스터 단자에 나오는 전체적인 레벨미터를 확인하면서 적절한 레벨로 조정해 가며 작업해 주는 것이 좋은 습관 일 수 있습니다. 또한 믹싱을 위해서 각 트랙별로 볼륨 밸런스를 맞춰줘야 하는데 곡을 완성한 후 레벨을 새로 조정할 일을 줄여 줄 수 있기 때문에 레벨 미터를 미리 확인 조정 하면서 작업을 해주면 좋습니다. 위 그림은 에이블톤의 세션 ..
더보기
-
드럼 취미로 집에서 100프로 즐기기 패드 이용 가이드
드럼은 팔과 다리를 이용하여 연주하는 타악기 입니다. 그만큼 손과 발을 드럼에 맞추어 연습해주는 것이 필수 입니다. 드럼은 타악기고 볼륨 자체가 워낙 크기 때문에 주택이나 아파트에서 연주가 불가능 합니다만, 연습은 드럼 없이도 어디서든 충분히 할 수 있습니다. 그 방법은 바로 드럼 패드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드럼 초보자들이 기초를 다지기에 필수적인 연습 도구이며, 드럼 패드는 드럼 쇼핑몰에서 충분히 구입이 가능합니다. 드럼몰을 통한 구입 가이드 부터 기초 연습 방법까지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드럼 패드는 악기사나 드럼 몰에서 쉽게 구입이 가능합니다. 손연습과 더불어 발 까지 연습이 가능한 패드들이 존재 하기 때문에 드럼에서 중요한 콤비네이션 연습이 가능합니다. 먼저 드럼몰을 검색한뒤에 아래 사진처럼..
더보기
-
기타 TAB 타브악보 보는 방법과 효과적인 연습방법
타브 악보는 5선 악보를 포함하여 기타 줄을 형상화한 악보가 추가된 악보를 뜻합니다. 즉 어떤 줄의 어떤 프렛을 짚고 쳐야 하는지 정보가 잘 나와있기 때문에 초보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타브 악보를 보는 방법을 사진과 함께 소개해보고 효과적이게 연습하는 방법에 대해 얘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타브 악보 보는 방법] 타브 악보는 아래 그림과 같이 상단에는 일반적인 오선 악보, 하단에는 TAB(타브) 악보가 있습니다. 타브는 기타 줄을 형상화하여 프렛 번호와 줄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TAB글자 옆에 빨간색 글씨로 줄 번호를 적어 놓았습니다. 제일 아랫줄이 기타의 6번 줄에 해당하게 되며 순차적으로 5,4,3,2,1 순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위 악보는 쉬운 설명을 위해 제가 기타 줄..
더보기
-
에이블톤 라이브10 미디편집창 튜토리얼 영상포함
에이블톤의 미디 편집 창의 기본적인 튜토리얼을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미디 노트를 찍는 기본적인 방법과 벨로시티 조정, 엔벨롭을 통한 오토메이션, 그루브 풀 적용방법 등을 다뤄보겠습니다. 동영상도 같이 첨부하였으니 글을 읽고 동영상을 보시면 이해가 더 빠르실 겁니다. 참고해 주세요 미디 클립창을 만드는 단축키는 Ctrl + Shift + M입니다. 어레인지먼트 뷰에 미디 클립 창을 만들 곳을 드래그해 선택한 후 해당 단축키를 누르면 생성됩니다. 미디 노트는 편집창 상에서 B키를 누르면 연필 툴로 바뀌면서 찍을 수 있습니다. B키를 다시 눌러주면 일반 커서 모양으로 바뀌며 벨로시티 조정은 일반 커서로 조정 가능합니다. 일반 커서로 더블클릭하면 마찬가지로 미디 노트가 생성됩니다. 벨로시티는 입련된 미디 노..
더보기
-
힙합비트 트랩장르 총 분석 붐뱁과의 차이는?
트랩 장르는 힙합에 뿌리를 둔 EDM 장르입니다. 힙합에서의 비트는 랩을 하기 위한 MR류로 생각을 하시면 쉽습니다. 트랩은 중저음을 강조한 비트와 하이햇이 다양하게 배리에이션(변화)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이햇이란 드럼의 심벌류로써 북류의 킥 드럼과 스네어 드럼을 포함한 리듬의 기초가 되는 역할을 해줍니다. 구음으로 표현하자면 쿵-빡-쿵-빡 하는 식의 쿵이 베이스 드럼이며 빡이 스네어 하이햇은 칫칫 소리를 내줍니다. 사운드는 노멀한 드럼의 사운드가 아닌 서스테인(길이)이 긴 킥 드럼을 서브 베이스 형태로 사용하며, 이를 808 사운드라고 합니다. 808 사운드란? 808이란 롤랜드사의 TR-808, 909 등의 장비에서 유래된 각 기기들의 특징을 가리켜 말합니다. TR-808은 드럼 머신입니다..
더보기
-
드럼을 몰라도 리듬을 만들 수 있는 비트메이킹 꿀Tip 미디클립,오디오 샘플 활용해서 나만의 리듬만들기 에이블톤 라이브10
에이블톤 라이브10 내에 있는 미디 클립과 웨이브 샘플 및 프리셋을 사용하면 드럼을 잘 몰라도 충분히 나만의 비트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 우리는 Drums 메뉴의 프리셋들을 참고할 필요가 있습니다. 프리셋들을 클릭해보면 각자에 세팅에 어울리는 연주 패턴들을 들어 볼 수 있습니다. 에이블톤은 이런 연주 패턴들을 미디 클립으로 모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활용하면 쉽게 리듬을 만들거나 분석할 수 있습니다. Drums 메뉴에 있는 드럼랙 프리셋들을 일일이 다 눌러 보면서 모니터링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마음에 드는 소스의 질감이나 패턴의 프리셋이 있다면 해당 프리셋의 이름을 잘 기억한 후 Clips 메뉴에서 해당 프리셋을 검색창에 검색해 보면 프리셋에 세팅되어 있는 모든 미디 클립을 찾아..
더보기
-
에이블톤 라이브 미디 이펙트 총정리 라이브 퍼포먼스에 활용하라
에이블톤 라이브10 의 미디 이펙트는 7가지가 존재합니다. 미디 이펙트는 실제 곡 작업 시에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응용하기 나름이겠지만 런치패드나 에이블톤 푸시 등의 외부 컨트롤러를 사용한 라이브 퍼포먼스등의 실연주를 통해 많이 사용합니다. 미디 이펙트는 에이블톤 카테고리 메뉴에 미디이펙트 메뉴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미디 이펙터는 기본적으로 가상악기의 소리 데이터를 활용해 이펙터가 작용하는 원리이기 때문에 아래 그림처럼 인서트 시키면 가상악기의 왼편에 인서트 됩니다. 복수의 미디 이펙터를 인서트 시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에이블톤 내에 배치되어 있는 순서대로 소개합니다. 아르 폐지터는 코드음을 분산시켜 소리를 내주는 이펙터입니다. 코드음을 분산시켜 연주하는 것을 아르페지오 주법이라 하며 코드의 개..
더보기
-
작곡 기본이론 조(key)와 스케일 (장조, Major)
조(key)란 무엇일까요? 일단 조를 알기전에 원활한 이해를 위해 음 개념 잡기 포스팅을 먼저 참고해주세요 :) [야! 너도 작곡 할 수 있어] - 작곡 기본이론 음 개념 잡기 작곡 기본이론 음 개념 잡기 이론의 중요성 이론은 한계에 부딪쳤을 때나 정확한 판단력을 필요로 할 때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론적인 근거에 의해 자신 있게 연주한 음에는 설득력이 조금 더 생기는 법입니다. 악보를 읽� agfriends.tistory.com 조라는 것은 어떤 음을 기준으로 일정한 규칙에 의해 음을 나열한 그룹을 뜻합니다. 영어로는 Key라 합니다. 이는 곧 스케일(음의 배열, 음계)이라 말 할수도 있으며 조와 스케일은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조는 어떤 음을 기준으로 한다 하였습니다. 이것은 곧 으뜸음 혹은 루트라 ..
더보기
-
올바른 드럼 세트를 나에게 맞게 선택하는 방법
올바른 드럼 세트를 선택하는 것은 특히 초보자인 경우 어려운 작업이 될 수 있습니다. 사용 가능한 옵션이 너무 많기 때문에 자신에게 적합한 세트를 결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필요에 가장 적합한 드럼 세트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에 대해 설명합니다. 1. 예산 드럼 세트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첫 번째 요소는 예산입니다. 드럼 세트는 수십만원에서 수천만원 까지 이릅니다. 세트 쇼핑을 시작하기 전에 지출할 금액을 결정하십시오. 2. 스킬 레벨 기술 수준은 고려해야 할 또 다른 중요한 요소입니다. 초보자라면 더 작고 더 기본적인 세트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중급 또는 고급 플레이어인 경우 고급 기능이 포함된 더 크고 다재다능한 세트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보통 초보자라면 5기통..
더보기
-
드럼 연주 속도와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5가지 방법
드러머의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는 속도와 정확성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이제 막 시작했든 노련한 드러머이든 항상 개선의 여지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드럼 연주 속도와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5가지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1. 메트로놈으로 연습 메트로놈으로 연습하는 것은 타이밍과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메트로놈을 편안한 템포로 설정하고 그에 맞춰 연주하는 것으로 시작하십시오. 그 템포에 익숙해지면 점차 속도를 높이십시오. 이것은 정확성을 유지하면서 속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2. 연습 패드 사용 연습 패드를 사용하면 기술에 집중하고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연습용 패드는 드럼의 느낌을 시뮬레이션하는 작은 휴대용 드럼 표면입니다. 싱글 스트로크, 더블 스트로크 및..
더보기
-
이퀄라이저 실전사용 처음에는 이렇게 접근하세요 에이블톤 EQ Eight
이전 포스팅을 통해 이퀄라이저의 역할은 특정 주파수 대역을 부스팅 시키거나 반대로 감소시켜 잡음이나 간섭음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고 했습니다. 이퀄라이저를 실전에서 사용하고자 한다면 먼저 이것만 기억 하세요. 1. 부스팅보다는 컷팅을 우선시한다. 2. 피킹(벨) 타입 활용을 최우선 한다. 3. 게인 조절은 필수다. 이번 포스팅은 에이블톤의 EQ Eight 실전 편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의 이퀄라이저 기본 개념을 먼저 참고하신 후 본 포스팅을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에이블톤 라이브 10] - 에이블톤 라이브 오디오 이펙터 이퀄라이저 8 EQ Eight 튜토리얼 에이블톤 라이브 오디오 이펙터 이퀄라이저8 EQ Eight 튜토리얼 에이블톤 라이브의 EQ8은 다른 이퀄라이저들과 마찬가지로 주파수를 증..
더보기
-
코드진행 확장 시키는 세컨더리 도미넌트 투 파이브 원을 기초로 합니다
세컨더리 도미넌트는 2차적 도미넌트 세븐 코드로써 다이어토닉 코드 진행의 폭을 넓혀 주면서 굉장히 많이 쓰이는 진행방법입니다. 각 다이어토닉 코드가 임시의 토닉으로써 작용하여 순간적으로 새로운 조성의 느낌이 든다는게 특징입니다. 세컨더리 도미넌트는 투-파이브-원을 기초로 합니다. 도입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기존의 코드 진행 사이에 (2) 세컨더리를 도입시키고 (3) 기존의 코드진행을 토닉으로 보고 (4) 삽입한 세컨더리 도미넌트를 5도 도미넌트 세븐스 코드로 본 다음 (5) 세컨더리 도미넌트와 상호 작용하는 2도 마이너 세븐스 코드를 삽입하면 (6) 코드가 확장되고 새로운 조성 감의 진행을 줘서 다채로운 세컨더리 도미넌트 진행이 됩니다. 기본적인 코드 진행 이론을 알고 있어야 세컨더리 도미넌트를..
더보기
-
메이저 다이어토닉 코드진행법 기초개념 확립 각 코드들의 기능 파악하기 (주요3화음,토닉,서브도미넌트,도미넌트, 대리코드)
코드 진행의 기초는 다이어토닉에서 시작됩니다. 메이저 다이어토닉 코드는 메이저 스케일에 위로 3도씩 음들을 쌓았을 때 생성되는 코드들을 의미하며 해당 조성안에서 기본적인 코드 진행의 틀이 됩니다. C메이저 다장조를 기반으로 설명하겠습니다. 모든 조성에서 동일한 법칙이 적용됩니다. 일단 스케일의 조성을 확립 해주는 음은 3가지가 있습니다. 음계의 출발점인 1도음(근음, 영어로는 Tonic), 딸림음인 5도음(영어로는 dominant), 딸림음에 인접한 버금딸림음인 4도음(영어로는 subdominant)가 조성 및 스케일을 확립 해주는 중심음입니다. Cmajor 다장조에는 도, 파, 솔에 해당됩니다. 이런 주요 3음에 3도씩 음을 위로 일정하게 쌓게되면 기본 3화음인 CM, FM, G 코드가 만들어집니다. ..
더보기
-
어쿠스틱 음악에 어울리는 매력넘치는 타악기 젬베 알아보기
젬베는 서아프리카 국가들에서 주로 생산되는 술잔 모양의 큰 북을 젬베라고 합니다. 원래는 나무를 깎아서 산양의 가죽을 로프로 고정시킨 단순한 구조입니다. 젬베에서 나오는 음색은 저음부터 고음까지 실로 다채롭습니다. 젬베의 바닥은 소리가 아래로 빠질 수 있도록 뚫려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연주할 때는 의자에 앉아서 양다리 사이에 젬베를 끼워 고정시켜 연주를 하는데 바닥으로 소리가 잘 빠지도록 악기 전체를 살짝 앞으로 기울여 연주를 합니다. 스트랩에 걸고 서서 연주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젬베는 헤드를 타격해서 소리를 내줍니다. 떄리는 위치와 방법에 따라서 다양한 소리가 납니다. 중앙은 저음 소리가 나며 타격점을 사이드로 갈수록 중, 고음의 소리가 나옵니다. 젬베의 기본적인 사운드는 크게 저음의 베이스,..
더보기
-
에이블톤라이브 샘플링 작업을 위한 필수기능 슬라이스 투 미디트랙(Slice to midi track) 챱핑테크닉
웨이브 타입의 샘플 파일을 미디 노트로 바꿔 편집과 편곡을 유용하게 할 수 있는 오디오 투 미디 트랙의 기능 중에 하나인 슬라이스 투 미디 트랙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슬라이스 투 미디트랙은 샘플링을 활용한 작업을 할 때 필수적으로 알아두면 좋은 기능입니다. 작업자가 맘에 드는 프레이즈 단위의 샘플을 부분적으로 잘라내어 하나의 가상 악기처럼 사용하거나 슬라이스 기능을 활용하어 아이디어를 차용하는 것을 챱핑 테크닉이라 하는데 에이블톤은 슬라이스 투 뉴 미디 트랙 기능으로 쉽게 활용 할 수 있습니다. 위 그림처럼 메뉴로 들어가 보면 아래 그림과 같은 메뉴가 뜨게 됩니다. 슬라이스 투 뉴 미디트랙의 3가지 메뉴 Create one slice per : 이 메뉴는 샘플을 어느 단위로 잘라내 배치할 것 인지 설정..
더보기
-
Uad solo610 각 패널과 버튼기능 리뷰 (노브 변화에 따른 소리의 질감 파악하기)
[뒷패널] 아웃풋 단자의 양 사이드에 있는 버튼기능 (1) Mic/Line-> 노이즈가 많이 들어올 때 MIC 사용, 통상적으로 Line에 위치 mic는 패드 개념-> LIne 은 소리 증폭 (2) Lift/gnd -> 케이블 교환 시 리프트로 놓고 교환 리프트는 안전 접지용도 연결 이후 통상적으로 Gnd 위치 [앞 패널] (1) 왼쪽 동그라미 큰 노브 GAIN 노브 -> THD(Total Harmony Distortion> 요소에 관여 게인 노브 올릴 시 610 진공관 프리앰프의 색깔이 짙어짐 (2) 오른쪽 동그라미 큰 노브 LEVEL 노브 -> 말 그대로 레벨을 업시킴. 원 소스의 소리를 투명하게 입력 EX) 게인4 레벨6 -> 상대적 투명함. 게인6 레벨4 -> 프리앰프 특색가미 색채변화, 게인6 ..
더보기
-
콘덴서 마이크 기본개념잡기 필터 패드 지향성 세팅과 마이크녹음
콘덴서 마이크는 보컬과 악기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써 동작하기 위해서는 팬텀 파워라는 48v의 전압이 필요한 마이크입니다. 보통 오디오 인터페이스나 믹서상에서 48V 버튼으로 전압을 공급합니다. (과거에는 전압이 틀려 팬텀 파워 박스가 따로 존재했으나 현재에는 인터페이스나 믹서에서 공급이 가능) 게인과 볼륨을 모두 내려주고 마이크 연결을 확실히 한후에 팬텀 전원을 넣고 게인과 볼륨을 올려 사용합니다. 끌때도 마찬가지로 게인과 볼륨을 모두 내려준 후에 팬텀 전원을 꺼줍니다. 안그러면 마이크가 손상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콘덴서 마이크는 사용하는 전기 소자에 따라 튜브(Tube)타입과 FET타입으로 분류됩니다. 튜브 타입은 진공관을 사용하고 FET는 반도체(트랜지스터)를 이용합니다. 거의 대부분의 콘..
더보기
-
미디작곡 DAW 프로그램 에이블톤 라이브 10 세션뷰 기본정리 (시퀀싱개념, 세션뷰 퍼포먼스방식)
에이블톤에서 작업을 하는 Mode는 타 시퀀서와 다르게 2가지가 있습니다. TAP키를 누르면 전환이 가능하며 일반적인 시퀀싱(편집, 기록)을 하는 어레인지먼트 뷰와 라이브에서 활용하는 퍼포먼스 작업을 위한 세션 뷰가 있습니다. 큐베이스나 로직과 다르게 세션 뷰는 에이블톤만 가지고 있는 Mode이며 에이블톤을 활용하여 라이브 연주나 디제잉이 가능한 이유는 바로 이 세션 뷰 때문입니다. 기본상식 TIP : 시퀀서라는 것은 미디 작곡 프로그램의 통칭입니다. (시퀀서 = DAW = 미디 작곡 프로그램) 대표적 시퀀서의 종류 : 에이블톤, 큐베이스, 로직프로, 리즌 등등 일반적으로 시퀀싱은 녹음을 포함한 미디작업이나 편집 및 작업을 한다. 정도의 뜻으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즉 어레인지먼트 뷰는 미디작업, 편집, ..
더보기
-
마이크 프리앰프 기본개념과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연결하기 (기기추천과 주의사항 포함)
마이크 프리앰프(Mic Preamp)는 마이크 신호를 증폭하는 첫 번째 전기 회로이며 미약한 마이크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본래 마이크의 입력된 신호는 아주 미약하며 이를 녹음에 알맞은 전압으로 올리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마이크 프리앰프입니다. 마이크 프리앰프는 기본적으로 믹서나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장착이 되어 있습니다.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아날로그 신호를 받아서 컴퓨터에 기록할 수 있게끔 디지털 신호로 변환을 해주는 역할도 해주는데 이를 컨버터 기능이라 하며 오디오 인터페이스에는 컨버터 기능과 마이크 프리앰프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외부에 아웃보드(외장형)로 마이크 프리앰프를 사용하는 이유는 콘솔이나 인터페이스의 기본 프리앰프에 비해 주파수 응답이 넓고 선명하여 음질의 퀄리..
더보기
-
내 아이의 악기선정을 위한 유용한 악기정보 드럼편 (드럼명칭,역할,구성,종류, 구입시 유의사항)
일반적으로 드럼이라 하면 위 그림처럼 세트드럼을 통칭합니다. 북과 심벌류가 합쳐진 드럼을 세트드럼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드럼은 세트드럼에 앉아서 스틱과 사지(양팔과 양다리)를 활용하여 리듬을 치는 악기입니다. 드럼은 밴드에서 박자와 리듬의 중심을 잡아주는 악기이기 때문에 굉장히 중요한 악기입니다. 정말 좋은 밴드는 그 밴드의 드러머를 보면 알 수 있다! 는 말 까지 있을 정도로 중요한 악기입니다. 그만큼 음악에서는 리듬이 정말 정말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드럼의 구성에서는 크게 북들과 심벌류로 나눠 집니다. 그리고 다음 그림과 같이 명칭이 나눠집니다. 드럼에 앉았을때 기준으로 오른발로 페달을 사용해 치는 가장 큰 북을 Bass드럼이라(킥 드럼이라고도) 합니다. 앉았을 때 가운데 있는 드럼을 스네어 드럼..
더보기
-
형식 나누기의 유용함 Song Form 이해하기
송폼이란 무엇일까요? 말 그대로 곡의 형식, 형태라 보시면 됩니다. 작사를 하기 위해서는 곡의 형식과 역할을 잘 알고 있어야만 곡에 맞춰 좋은 작사를 할 수 있습니다. 곡의 각 형식에는 다음과 같이 표기합니다. Verse-절 / Chrous-후렴 / BR(Bridge)-형식의 연결에 기반한 전환, 환기 / Refrain - 반복적 후렴구 각 형식에는 보통 이런 역할들을 합니다. Verse-절의 경우 분위기상의 상황이나 내용 등을 전개시키고 소개합니다. Chrous-후렴의 경우 외치고 싶은 말(주제) 등을 표현합니다. BR(Bridge)는 상황과 하고싶은 말을 잘 연결하거나 후렴에서 다 하지 못 한말을 내용상 환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위와 같은 형식은 다음과 같이 곡에 다양하게 존재 합니다. 예로 V-V..
더보기
-
작곡에 필요한 장비 마스터건반과 오디오 인터페이스 (기본개념잡기)
3번째 필요 장비 : 마스터 건반 기본적으로 미디 정보를 입력하는 도구로는 컴퓨터의 기본 장치인 키보드와 마우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음역대를 다양하게 사용하면서 더욱 리얼하게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마스터 건반이 있어주면 더욱 좋습니다. 마스터 건반은 피아노와 같은 모양으로 usb포트를 활용하여 컴퓨터에 연결하여 DAW상에 있는 가상악기나 외부 가상악기와 연동시켜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보통 많이 사용합니다. 외관 상으로는 신디사이저와 비슷하지만, 미디 연주 정보 입력용으로 사용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내장된 음색은 없습니다. 내장된 소리가 있는 마스터 건반도 존재 하지만 가격 적으로 더욱 차이가 납니다. 미디 입력 정도라면 내장된 음색이 없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가격대도 적당하며, 내장..
더보기
-
고품질의 드럼 사운드를 녹음하는 방법과 믹싱에 관하여
드럼을 녹음하고 믹싱하는 것은 스튜디오에서 어려운 작업이 될 수 있습니다. 드럼은 정확하게 캡처하기 어려울 수 있는 복잡한 악기이며 적절하게 다루지 않으면 믹스가 빠르게 어수선해질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스튜디오에서 드럼을 녹음하고 믹싱하여 전문가 수준의 드럼 트랙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10가지 팁에 대해 설명합니다. 1. 고품질 드럼 마이크 사용 드럼 녹음 및 믹싱의 첫 번째 단계는 고품질 드럼 마이크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좋은 드럼 마이크 세트는 각 드럼의 뉘앙스를 포착하고 완전하고 균형 잡힌 사운드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드럼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처리할 수 있는 고품질 마이크에 투자하십시오. 2. 올바른 녹음 부스 선택 드럼을 녹음하는 방은 드럼 사운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
더보기
-
대중음악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코드진행
대중 음악에 관해서는 몇 번이고 반복해서 사용된 특정 코드 진행이 있습니다. 이러한 코드 진행은 너무 유명해서 몇 개의 음만 들어도 알아차릴 수 있을 것입니다. 이 블로그 게시물에서는 대중 음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코드 진행에 대해 설명합니다. I-IV-V 진행 대중 음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코드 진행은 I-IV-V 진행입니다. 이 코드 진행은 I, IV 및 V 코드의 세 가지 코드로만 구성되기 때문에 "3화음 노래"라고도 합니다. I 코드는 노래의 기반이 되는 토닉 코드입니다. IV 코드는 서브도미넌트 코드이고 V 코드는 도미넌트 코드입니다. (더 기초적인 내용이 궁금하다면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야! 너도 작곡 할 수 있어] - 메이저 다이어토닉 코드진행법 기초개념 확립 각 코드들의 기능 파..
더보기
-
기타지판 똑똑하게 이해하고 연습하여 Key 조성 정복하기
모든 곡에는 조표가 존재합니다. 즉 곡마다 중심 키가 있으며 이것을 조표로써 표현해 줍니다. 기타 연주 실력을 빠르게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기타 지판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이며, 첫 번째 꿀팁으로 기타 5,6 번 줄을 활용해 쉽게 조성을 파악하는 방법을 소개해 보고자 합니다. 조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시다면 이전글을 먼저 보고 난 후에 이 포스팅을 보는 것을 추천드리며, 코드 휠과 기본적인 메이저, 마이너 스케일을 첨부하도록 할 테니 연습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야! 너도 작곡 할 수 있어] - 작곡 기본이론 조(key)와 스케일 (장조, Major) 작곡 기본이론 조(key)와 스케일 (장조, Major) 조(key)란 무엇일까요? 일단 조를 알기전에 원활한 이해를 위해 음 개념 잡기 포스팅을 먼저..
더보기
-
자주 사용하는 에이블톤 라이브 주파수 계열 오디오 이펙터 기초정리
주파수 계열의 이펙터는 저음, 중음, 고음 등의 소리의 음역대를 말합니다. 특정 음역을 조정하여 저음, 중음, 고음 등을 더욱 증폭시키거나 감소시켜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에이블톤 라이브 에서는 EQ Eight, EQ three, Auto Filter, Overdrive 등이 대표적이 주파수 계열의 이펙터라 할 수 있습니다. 여러 개로 흩어져 있는 각 트랙의 사운드를 하나의 사운드로 조화롭게 만들어 주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다룰 줄 알아야 하는 이펙터들입니다. 흔히 믹싱에서 주로 사용하는 이펙터 들입니다. 믹싱과 마스터링에 대한 개념글은 이전글을 참고해 주세요 그럼 본격적으로 각 이펙터들을 간략하게 소개해 보겠습니다. [에이블톤 라이브10] - 에이블톤 라이브와 큐베이스를 사용하기 위한 기초 음악용어 ..
더보기
-
악기 선정을 위한 유용한 악기정보 기타편(일렉기타,어쿠스틱 기타) 기본상식 기타종류 앰프종류
기타는 크게 어쿠스틱 기타와 일렉 기타로 나뉩니다. 어쿠스틱 기타는 클래식 기타와 포크 기타(통기타)로 나뉩니다. 클래식 기타는 한 줄씩 튕기는 연주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어쿠스틱 기타보다 넥(지판 부분)이 두껍고 프렛(음을 구분지어주는 쇠붙이)도 두껍습니다. 줄은 나일론으로 만들어져 소리의 특색도 약간 다릅니다. 보통 통기타로 불리는 어쿠스틱 기타는 넥이 클래식 기타보다 좁고 음역이 좀 더 넓습니다. 손가락과 피크로 줄을 튕겨서 연주를 많이 하며 스트로크(현을 쳐주는 주법) 방법에 따라 음악의 스타일이 달라집니다. 줄이 쇠줄이기 때문에 스틸 기타라고도 합니다. 일렉트릭 기타는 말그대로 전기신호를 통해 소리를 내는 악기입니다. 기타 몸통에 박혀있는 픽업을 통해 전기 신호로 변환된 줄의 울림을 앰프를 통해 ..
더보기
-
만능 펜타토닉 스케일 총정리 기타 포지션 확인하고 가세요
펜타의 뜻은 5를 뜻하며 말 그대로 펜타토닉 스케일은 5음계 스케일을 말합니다. 심오하면서 평생 써먹을 수 있는 주옥같은 스케일입니다. 펜타토닉의 장점은 나란한조끼리 구성음이 같습니다. 즉 메이저 스케일, 마이너 스케일의 펜타토닉은 동일 합니다. 둘 중 하나만 알면 두 가지를 조성에서 모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동요, 팝, 락, 펑크 등등 어떤 곡에도 잘 어울리며 코드가 바뀌어도 한가지 종류의 스케일 만으로도 계속해서 연주가 가능하기 때문에 필히 익혀야 하는 스케일입니다. 나란한조 및 스케일과 코드등의 더 기초적인 지식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그럼 본격적인 펜타토닉에 대하여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야! 너도 작곡 할 수 있어] - 코드 진행의 기본 조성 안에서의 해결 다이어토닉 코드와..
더보기
-
틀리면 처음부터 다시 녹음하신다구요? 큐베이스 펀치 기능 활용해서 쉽게 녹음하세요
녹음 중 실수를 하거나 녹음을 마치고 모니터링을 해봤을 때 맘에 들지 않는 부분이 생긴다면 처음부터 다시 녹음하거나 트랙을 다시 만들어 그 구간만 녹음하는 방식으로 많이들 진행합니다. 이런 식의 녹음은 두 번 일하게 되고 금세 녹음이 지치게 됩니다. 에이블톤과 마찬가지로 큐베이스도 펀치 기능을 활용하여 선택 구간만 녹음이 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펀치 기능을 활용하면 그자리에서 녹음과 수정을 동시에 할 수 있어 편리하고 효율적이기 때문에 꼭 활용하시면 좋습니다. 큐베이스로 노래를 연습하시는 분들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녹음 연습을 한다는 것은 직접 본인의 목소리를 모니터링하여 이상하고 안 맞는 부분을 찾아내 수정하여 실력을 키우는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효율적인 노래 연습은 처음..
더보기